산나물 종류/ 사진과 이름
초봄 몸의 활력을 돋우는 봄나물
3 월 봄나물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봄비를 맞고 나면 새싻들이 너도나도 돋아나겠지요?
봄나물은 겨우내 살아남아
봄철에 싹을 틔우기 위해 응축한 생명력을 품고 있습니다.
입안 가득 퍼지는 향긋쌉쌀한 맛의 봄나물은
겨우내 떨어진 입맛을 돋우며,
몸에 필요한 각종 비타민을 다량 함유해
나른해진 몸에 활력을 불어 넣어 주며,
봄나물에 들어 있는 각종 항산화 물질은
암 발생을 예방하고 면역력을 높여줍니다.
봄에 돋아나는 어린 새순들은
거의 식용으로 가능하며
약간의 독성이 있는 나물은 삶아서 드시면 됩니다.
봄나물은 보약같은 존재임으로
골고루 드시어 건강한 삶을 영위하시길요...
봄나물의 사진과 용법을 참고하세요!
취나물 생으로 쌈을 싸 먹거나 삶아서 먹습니다. 꿩의다리(꿩다리) 삶아서 무쳐 먹으면 향긋합니다. 윤판나물많이 먹으면 배탈이납니다. 삶아서 하루 정도 물에 우려낸 후 무쳐 먹습니다.
당개지치(지장나물)
핵산이 풍부한 고급나물이고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벌깨덩굴(줄나물, 깻잎나물) 깊은 산골짜기에 많으며 삶아서 무치면 아주 맛이 좋습니다.비슷한데 색갈이 검고 잎이 두꺼운것은 광대수염이니 뜯지 마세요.
나비나물(콩대가리)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곤대서리
생으로 쌈을 싸 먹어도 되며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
병풍취
아주 고산지대에 자생하며 취나물의 여왕이라 할 정도로 향이 좋으며 생(날것)으로 쌈을 싸서 먹습니다.
참당귀생으로 쌈을 싸 먹으며 향이 아주 좋습니다.(뿌리는 한약재로쓰입니다) 우산나물(우산대) 대궁이까지 뜯어서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단풍취(조타파리)
산에가면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취나물이며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고비(귀리) 머리부분은 때어내고 삶아서 말린 후 묵나물로 먹습니다.
쥐오줌풀산 길 주위에 많으며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애기참반디(밤내이) 참나물이며 생으로 쌈을 싸 먹거나 삶아서 무쳐 먹습니다.
참나물 깊은 산 골짜기에 많으며 나물중에서 최고로 맛있으며 생으로 쌈을 싸 먹습니다.
홀아비꽃대(놋젖가치)
대궁이까지 뜯어서 삶아 무쳐 먹습니다.(대궁이는두릅 맛 비슷합니다)
돌나물돋나물이라고도 하며 나물로 무치기도 하고 생으로
김치를
담아 먹기도 한다
혼닙나물(화살나무)
산나물의 대표격으로 순하고 맛과 향이 좋다.
냉이이른봄 들나물을 대표한다. 무쳐도 좋고 국으로도 향이 좋다.
물냉이논두렁이나 개천 근처에 많이 자란다. 냉이보다 잎이
잘잘하고 많이 달린다.
떡쑥양지바른 풀밭이면 어디서도 볼 수 있다.
나물로는 적합지 않고 주로 쑥떡용으로 식용한다.
엄나무
엄나무는 험상궂은 가시가 줄기에 빈틈없이 나있는 나무로 해동목(海桐木). 자추목(刺秋木)이라고도 한다.참나물취나물 비슷한데 털이 없고 기름때가 반질거린다.
기린초
야산에는 드물고 깊은 산속 물가에 많이 자생한다
.
담배나물(망초)우리 주변에 가장 많은 풀이 망초다. 공원과 아파트 정원 어디서도 잘 자란다. 양념을 잘해 나물로 무치면 아주 맛이 좋다.
소리쟁이물가나 풀밭 어디에도 흔한 풀이다.
나물로도 먹고 국으로도 사용되는데 맛은 별로다.
둥굴레나물깊은 산속 큰나무 밑에 잘 자란다. 뿌리는 약초로도 쓰이고 둥굴레차로도 많이 이용된다.
취나물
산나물의 으뜸이다. 요즘은 재배도 많이 한다
.
민들레나물로 먹는데 꺾으면 유백색 진이 난다. 뿌리는 아주 독이 많다. 나물로 먹으려면 데쳐서 물에 24시간 이상
우리어야 한다
.
도라지 싹(길경)
순하고 맛있는 나물이다.
더덕
잎과 줄기는 나물로, 뿌리는 약재나 나물로 귀하게 이용된다. 깊은 산속 계곡류 근방에 자생한다.
씀바귀잎과 뿌리, 모두 나물로 먹는다. 쓴나물이기 때문에
많이 우려야 한다.
두리풀(용강나물) 한약초로는 잎과 뿌리를 '세신,이라 한다. 향이 독특하여 나물로도 고급에 속한다.꽃이 요강이나 족두리를 닮았다. 깊은 산속에 자란다.
애기나리
산속 큰 나무 밑 음지에 잘 자란다. 둥굴레 비슷한데 잎이 작다. 대체로 군락을 이루산다.어
묵나물(다래순)깊은 산속 덤불로 자란다.
강원도 산나물의 대표격으로 맛과 향이 매우 좋다.
질경이풀밭이면 어디서도 잘 자라는 잡초에 속한다. 나물로 먹을 수 있으나 좀 질긴 편이어서 데쳐서 다시 국을 끊이면 좋다.
보리뱅이(뽀리뱅이)
우리가 어릴 때는 없던 풀이다. 해방 뒤 들어온 외래종이다. 뽀얀 진이 나기는 해도 순한 나물이다.집 근처 어디서도 볼 수 있다. 냉이 비슷한데 잎이 넓고 크며 붉은색을 띠고 진이 난다.
시금치나물(별꽃풀)
물가나 습한 곳에 많이 난다. 흰꽃이 별같아서 별꽃풀이다. 시금치 같이 순하고 맛이 좋아 권하고 싶다.
방아나물깻닢 비슷하기도 하고 취나물 비슷도 한데, 박하 비슷한 독특한 냄새가 매우 강하다.그래서 생선조리할 때 넣으면 비린내가 싹 가신다.
다닥개갓냉이양지바른 풀밭에 흔하게 자란다.
나물로 무치면 아삭아삭한 맛이 제법이다.
고들빼기씀바귀의 일종으로 잎과 뿌리 모두 나물로 먹는다.
진이 많아 쓴 편이다.
병아리고비
고사리의 작은 모양으로 이른봄 고사리보다 먼저 나온다.산계곡이나 음지에 자란다. 봄나물의 으뜸이다.
깨나물(오리방풀)깻닢같이 생겨 깨나물이다.
야산 조금 높은 곳 양지쪽에 자생한다.
고추나물이와 비슷한 풀로 '물레나물' 과 '용담초' 가 있다.
봄나물로 권하고 싶은 좋은 나물이다. 약간 습한 풀밭에 잘 자란다.
미역취취나물과에 속한다.
약간 큰산에 자라는 나물이다. 맛이 아주 좋다.
콩제비꽃제비꽃 중에 나물로 먹는 것이 두세 종 된다. 대개 식용은 잎이 하트형으로 둥굴다. 집 근처에 많이 자생한다.
양지꽃이른봄 가장 먼저 나오는 풀이다. 양지바른 언덕에
많이 산다.
잔대(겨르기싹)
꺾으면 진이 나는데 뿌리를 생으로 먹기도 한다
.
망제비꽃물가나 습한 음지에 잘 자란다. 여리고 순해서
나물로 괜찮다.
짚신나물
개울가나 습한 땅에 자란다. 여름에 노란 꽃이 핀다.
조개나물제비꽃의 일종인데 황해도에서는 조개나물이라 부른다. 깊은 산속 낙옆속에 자란다.흰털이 많이 나며 연하다. .
가락지나물
양지꽃이나 뱀딸기를 닮았다. 계곡가나 습한 땅에 자란다.
당귀야산에는 드물고 깊은 큰산 계곡에 난다. 뿌리는 한약재 '당귀'로 쓰인다.
청미래덩쿨줄기나 가시가 억센 편이어서 어린순만 먹을 수 있다. 가을에 빨간 열매를 장식으로 많이 이용된다.
까치수영
까치수염이라고도 하는데 흰꽃이 수염처럼 늘어져 피기 때문이다.이 풀은 삶으면 초록색이 갈색으로 변해시각성이 떨어진다.
층층이둥굴레
약간 습한 낮은 땅에 자란다
.
개갓냉이꼭 전라도 갓을 닮았다. 자연상태의 갓이다. 맛이 일품이다.
궁궁이(천궁)냄새가 톡 쏜다. 잎에서도 뿌리 '당귀'처럼 짙은
한약냄새가 특징이다.
메꽃흰 뿌리와 함께 먹는 순한 풀이다.
풀밭이면어디서도자란
다 .
좀단풍취고산식물에 속한다. 높은 산 큰나무 밑 낙엽 속에 자란다.
갈퀴나물풀밭에 흔하게 볼 수 있는 풀이다. 잎이 큰 큰갈퀴와 작은 갈퀴가 있다. 사진은 작은 갈퀴다.
고비나물
고비가 활짝 핀 모습이다. 깊은 산 계곡가에 많이 난다
.
좁쌀풀 나물풀밭에 군락을 이루어 무더기로 산다.
멸구나물
귀한 나물이다. 들풀은 아니고 산속 양지쪽에 산다.
꼬리솔나물층층이둥굴레와 비슷하나 잎이 가늘고 작다.
양지를 좋아한
다.
청가시나물맛있는 나물에 속한다. 잎과 순이 작아 뜯기가 힘들다.
가시가 많고 사납다.
쑥부쟁이큰산나물의 대표다. 요즘은 가을에 보라색 꽃이 좋아 정원이나 공원에 많이 식재한다.
구기자순열매 구기자차로 먹는 구기자 나무다. 나물로도 귀하다.
산머루
야산에 많이 자란다. 개머루가 달린다
.
곰취 취나물중의 으뜸, 곰취는 깨끗한 물에 씻어서 날로 먹는것이 가장 향이 좋으며 돼지고기나 쇠고기를 싸서 된장을 조금 발라 찍어 먹으면 신선이 따로 없음을 느끼게 해주는
자연의 선물이다.
각시취우리강산의 산천에서 나는 풀은 새순일 때는
독초까지도 독이 없을 정도로 깨끗하고 얌전하다.
고사리
고
단풍취
모시대
미나리취
바위취
방풍나물
병풍취
누리대
미역취
삿갓나물
원추리
지장보살
엉겅퀴
사진은 취나물중의 최고인 곰취이다.
맛이 너무좋아 곰이 즐겨 먹는다 해서 곰취라 불리워졌다는 설과
잎의 생김새가 곰발바닦 처럼 크고 넓어서 곰취라 불리워진다는 설이 있다.
곰취도 연하고 어린 잎보다는 어른 손바닦 크기 이상으로 커져야 어린 냄새가 나지 않으며 향이 짙고 깊어서 맛이 아주 좋게 된다*
곰취는 깨끗한 물에 씻어서 날로먹는것이 가장 향이
좋으며 돼지고기나 쇠고기를 싸서 된장을 조금 발라
찍어 먹으면 신선이 따로 없음을 느끼게 해주는
자연의 선물이다이른 봄에 나는 산야의나물은 먹어서
독이 없고 역겨운 냄새가 나지 않으면 다 산채나물이다.
우리강산의 산천에서 나는 풀은
새순일 때는 독초까지도 독이 없을 정도로 깨끗하고 얌전하다
각시취
고사리
고추대나물
단풍취
모시대
미나리취
바위취
방풍나물
병풍취
누리대
미역취
삿갓나물
원추리
지장보살
참고비
엉겅퀴
참취
수리취
얼러지
엄나무순
우산나물
'■ 자연생활 > 야생초(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꽃방망이 | 8월의 야생화 (0) | 2019.08.17 |
---|---|
이질풀 / 7월의 야생화 (0) | 2019.07.24 |
백두산 야생화 (0) | 2019.06.29 |
자주개자리 | 6월의 야생화 (0) | 2019.06.29 |
냉천도심의 복수초 (0) | 2019.02.07 |
한국의 자생 야생화 88종 (0) | 2018.12.13 |
[스크랩] 야생화-담자리 꽃 (0) | 2018.04.12 |
할미꽃과 튤립 (0) | 2015.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