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2015. 05. 15

불로그에 올린 글이 부족하나마 세상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수어지친 水魚之親 TISTORY

■ 행사 40

동지(冬至)

동지(冬至) 瓦也 정유순 “동지섣달 긴긴밤이 짧기만 한 것은 근심으로 지세우는 어머님 마음…” 가요 에 나오는 가사 첫 구절이다. 옛날의 태음력법(太陰曆法)에서는 입춘(立春)에서 시작하여 일 년을 24절기로 나누고 그중 22번째 절기가 동지(冬至)이며, 음력 11월에 들어있어 음력 11월을 동짓달이라고 한다. 하지가 일 년 중에서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것에 비해서 동지는 그와 반대로 한해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다. 동지는 태양이 적도 이남 23.5도의 동지선(남회귀선) 곧 황경(黃經) 270도의 위치에 있을 때다. 황경은 춘분 0도, 하지 90도, 추분 180도, 동경 270도다. 그래서 양력 12월 21∼23일 무렵에 든다. 양력으로 동지가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들면 애동지, ..

호국영령

호국영령 송곡 / 노중하 햇볕이 내리쬐는 초여름 국화꽃 손에 들고 찾아온 후손 붉은 장미꽃 밝은 미소 지으니 살랑살랑 불어오는 바람이 나를 반긴다 잊혀 가는 동족상잔의 전쟁 대구를 사수하기 위한 다부동 전선 수많은 군인들의 신음소리 낙동강은 붉은 피가 흐르는 강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 전선을 가다듬고 북진하는 총소리 백두산에 태극기 휘날리던 삼촌 중공군이 물밀 듯이 두만강을 넘어온다 기진맥진한 형님 더 이상 버틸 수 없다. 후퇴하라! 백마고지에서 국군과 중공군의 희생 지긋지긋한 삼 년 전쟁, 휴전협정 하는 U. N 군 공산주의, 민주주의로 허리 잘린 조국 호국영령들의 피가 흐르는 현충원 조국을 수호하신 선열들이여! 한국은 경제 대국이 되었습니다. 임들의 희생이 없었으면 헐벗고 굶주리는 나라가 되었겠지..

'1년 중 낮이 제일 긴' 하지(夏至), 서양 풍습은?

'1년 중 낮이 제일 긴' 하지(夏至), 서양 풍습은? 미국, 68년만에 하지에 뜬 보름달 기념…영국은 '스톤헨지'에 관광객 몰려 머니투데이 이슈팀 이건희 기자 |입력 : 2016.06.21 14:33 닫기 지난해 6월21일 촬영된 하짓날 영국 윌트셔주 유적 '스톤헨지'의 일출 모습. 영국인들은 여름의 시작을 기념하기 위해 매해 하짓날 스톤헨지에서 일출을 보는 전통을 갖고 있다. /AFPBBNews=뉴스1 14시간46분. 오늘(21일) 서울 종로구에 해가 떠 있는 시간이다. 오전 5시11분에 뜬 해는 오후 7시57분에 질 예정이다. 오늘은 1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이 가장 길다는 ‘하지’(夏至)이다. 해마다 음력으로는 5월, 양력으로는 6월20~22일 사이에 찾아온다. 하지는 우리나라만의 절기는..

하지(夏至)

하지(夏至) 2020년 하지 정의 하지(夏至)는 24절기 중 열 번째 절기입니다. 망종(芒種)과 소서(小暑) 사이에 오는 절기이죠. 음력으로는 5월 무렵, 양력으로는 대략 6월 21일~22일 무렵입니다. (관련 포스팅 : 2020년 소서 날짜 뜻 풍속 속담) 하지(夏至)의 한자를 그대로 풀이하자면, '여름(夏)에 이르다(至)'입니다. 하지 무렵부터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다고 시작하여 붙여진 이름이 아닐까 합니다. 이름처럼, 이 시기는 천문학적으로 일년 중 태양의 적위(적위: 적도 좌표계에서 천구상의 한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두 개의 좌표 중의 하나)가 가장 커지는 시기입니다. 하지 때 태양은 황도 상 가장 북쪽에 위치하는데요, 이것을 하지점(夏至點)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북반구에서는 낮의..

입추(立秋)

입추(立秋) 정의 태양의 황도(黃道)상의 위치로 정한 24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 양력으로는 8월 8일 무렵이고, 음력으로는 7월인데, 태양의 황경(黃經)이 135도에 있을 때이다. 대서(大暑)와 처서(處暑)의 사이에 들어 있으며,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절후이다. 이날부터 입동(立冬) 전까지를 가을이라고 한다. 유래 『고려사(高麗史)』 권50 지(志)4 역(曆) 선명력(宣明曆) 상(上)에 “입추는 7월의 절기이다. 괘(卦)는 리(離) 구사(九四)이다. 초후(初候)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어온다. 차후(次候)에 흰 이슬이 내린다. 말후(末候)에 쓰르라미[寒蟬]가 운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입추가 지난 후의 계절의 변화를 잘 나타내는 말이다. 『고려사』 권6 「세가(世家)」 6 정종(正宗..

백로 (白露)

백로 (白露) 백로(白露)는 24 절기의 열다섯째 절기로 처서와 추분 사이에 들며, 음력 8월, 금년은 양력 9월 7일이다. 태양의 황경이 165°에 올 때이다. 이때쯤이면 밤에 기온이 내려가고, 대기중의 수증기가 엉켜서 풀잎에 흰이슬이 맺혀 가을 기운이 완전히 나타난다. 추석 무렵으로 만곡이 무르익는 시기이다. 옛 중국 사람들은 백로입기일(白露入氣日)로부터 추분까지의 시기를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그 특징을 말하였는데,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중후(中候)에는 제비가 강남으로 돌아가며, 말후(末候)에는 뭇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고 하였다. 이 때 우리 나라에는 장마도 걷히고 중후와 말후에는 쾌청한 날씨가 계속된다. 간혹 남쪽에서 불어오는 태풍이 곡식을 넘어뜨리고 해일(海溢)의 피해를 가져..

7월 17일 제헌절 뜻과 의미 정확히 알아보기

7월 17일 제헌절 뜻과 의미 정확히 알아보기 어느덧 7월의 중순에 접어들었습니다. 이번 주에는 우리나라의 5대 국경일 가운데 하나인 '제헌절'이 있는 특별한 한 주가 될 전망인데요. 비록 공휴일로 지정돼 있지는 않지만 우리 역사에 중요한 기념일인 만큼 이 날이 어떤 날인지, 그리고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정확하게 알아둘 필요가 있죠. 7월 17일 제헌절의 정확한 뜻과 의미를 오산시와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 ​ 7월 17일 제헌절은 법을 만든 날이다? 제헌절의 정확한 뜻과 의미 아마도 많은 분들이 제헌절 하면 단순히 '법이 만들어진 날'이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어느 정도 맞는 말이지만 보다 정확한 제헌절의 뜻과 의미를 알아두셔야 할 필요가 있어요. 제헌절은 1948년 7월 17일 자유..

대서·중복, 말복 날짜와 의미는?

대서·중복, 말복 날짜와 의미는? 22일 중복을 맞은 가운데 말복에 대한 관심 역시 높다. 올해 말복은 다음달 11일 이다. 복날(伏날)은 매년 7월에서 8월 사이에 돌아오는 있는 3번의 절기, 즉 초복(初伏)·중복(中伏)·말복(末伏)의 삼복(三伏)을 말한다. 초복은 하지로부터 세 번째 경일(庚日), 중복은 네 번째 경일, 말복은 입추로부터 첫 번째 경일이다. 복날은 열흘 간격으로 초복에서 말복까지 20일이 걸리지만, 해에 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이 되기도 하며 이는 월복(越伏)이라고 한다. 초복에서 말복까지의 기간은 일년중 가장 더운 때로 이 시기를 삼복(三伏)이라 하며, 이때의 더위를 삼복더위라 부른다. 중국의 ‘사기(史記)’에 따르면 진의 덕공(德公) 2년에 비로소 삼복이 시작됐다고 한다...

봄을 흔들어 보세요. / 글. 김 경빈

봄을 흔들어 보세요. / 글. 김 경빈 봄의 소리에 놀랬다. 봄의 빛에 눈부셨다. 봄기운을 타고 웃음으로 말 건네본다. 가끔은 바빠도 인사를 건네자 너무 멀리 도망가 버리지 않도록.. 어울리는 방법도 알고 해 맑음을 선물도 하자. 봄이 찾아 오는 길목에서는 만남도 화사한 모습으로 밝은 웃음 지으며 맞이하자 아이의 순수한 마음으로 밝은빛을 타고 오는 봄나들이 갈 준비를 하면서 마음의 문을 활짝열자.. 그리움이 묻어 나는 날에는 그리워하자 마음의 문을 노크하면서 열지 못했던 마음들을 열자. 다시 시작하기에 안성맞춤이다. 다시 미소 지어 보이며 마주하기에 좋은 날들이다. 마음을 열자 봄의 빛을 받으며 활기찬 노래를 부르며.. 못난마음도 이쁜마음도 만나자 그리고 달래주자 사랑이 가득찬 마음을 전하면서 내 마음 ..

절기상 백로의 유래?

절기상 백로의 유래? 백로 [白露] 처서(處暑)와 추분(秋分)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백로(白露)는 양력 9월 9일 무렵으로 대개 음력 8월에 들며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이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이 황경 165도를 통과할 때이다. 백로는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이때쯤이면 밤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데서 유래한다. 가을의 기운이 완연히 나타나는 시기로 옛 중국 사람들은 백로부터 추분까지의 시기를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특징을 말하였는데,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날아오고, 중후(中侯)에는 제비가 강남으로 돌아가며, 말후(末候)에는 뭇 새들이 먹이를 저장한다고 한다. 백로 무렵에는 장마가 걷힌 후여서 맑은 날씨가 계속된다. 하지만 간혹 남쪽에서 불어오..

설날 - 음력 1월 1일, 공휴일

설날 - 음력 1월 1일, 공휴일 음력 정월 초하룻날은 민속의 날(설날)이다. 예로부터 이 날을 세수(歲首)․원단(元旦)․원일(元日)․신원(新元)이라고도 하며, 근신․조심하는 날이라 해서 한문으로는 신일(愼日)이라고도 쓴다. 원래 음력 설 또는 구정(舊正)이라 하여 우리 나라는 예로부터 이 날을 최대의 명절로 삼아 왔다. 정부는 그 동안 이중 과세의 폐단을 막는다는 명분 아래 구정 과세의 자제를 요청해 왔으나, 국민 여론을 감안하여 1985년부터 이 날을 ‘민속의 날’로 공포하고 공휴일로 정하였다. 이 날 사당에 지내는 제사를 차례(茶禮)라 하고, 아이들이 입는 새 옷을 세장(歲粧)이라고 하며, 어른들을 찾아 뵙는 일을 세배라 한다. 이 날 대접하는 시절 음식을 세찬(歲饌)이라고 하며, 또한 이에 곁들인..

정월 대보름 "소원성취" 만사형통 하소서

정월 대보름 "소원성취" 만사형통 하소서 정월 대보름'을 상원(上元) 이라고도 한다. 음력 1월 15일은 대보름, 음력 1월 14일은 작은 보름으로 불린다 날짜 음력 1월 15일 (2015년 3월5일 목요일) 정월 대보름' 입니다.. 올 한 해 건강을 기원하며.. 질병과 액운 떨쳐내시라고.. 대보름날 아침 부럼.. (땅콩,호두,밤,잣,은행~) 그리고 귀 밝이 술 준비했습니다~^^ 일년의 강건'을 기원'하는 정월 대보름날... 둥근 보름달 보며 소원 꼭 비시고 정월대보름에 달이 동산에 뜰때 커보이는 이유는 순전히 인간의 심리적인 효과, 즉 착시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머리위에 있는 태양의 주위는 아주 넓은 빈 공간이 있으므로 태양이 상대적으로 작아보이고, 동산 위의 해나 달은 이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아..

한글날은 왜 23년만에 다시 공휴일이 됐을까?

한글날은 왜 23년만에 다시 공휴일이 됐을까? 공휴일 추진에 앞장선 사람들에게 듣는 한글날 재지정 취지와 의의 2012년 9월 23일, 공휴일 재지정으로 올해부터 한글날에 쉬게 됐다. 23년만이다. 이 소식에 대부분 사람들은 쉬는 날이 하루 더 늘었다며 좋아한다. 한글날이 다시 공휴일로 지정된 건 어떤 연유일까. 몇 십년 전만해도 한문을 모르면 생활하는데 불편함이 많았다. 지금이야 한글 상용화가 당연시 되고 있지만, 이를 위해 한글 독립을 외치며 전방위로 뛰어 다닌 사람들의 노고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한글 국경일과 공휴일 추진에 앞장서온 이들에게 한글날을 공휴일 지정에 대한 이유를 들어봤다. 휴일이 아니면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다. 아무리 국경일로 정했어도 쉬지 않으면 그 의미를 짚고 넘어가기 어렵다.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