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2015. 05. 15

불로그에 올린 글이 부족하나마 세상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수어지친 水魚之親 TISTORY

■ 전통과 역사/고사·고담이야기 8

우리나라 속담(俗談) 1000가지

우리나라 속담(俗談) 1000가지 1.-계집 바뀐 건 모르고 젓가락 짝 바뀐 건 안다 2.-고기는 씹어야 맛이요 말은 해야 맛이라 3.-나룻이 석 자라도 먹어야 샌님 4.-거미는 줄을 쳐야 벌레를 잡는다 5.-거지도 손 볼 날이 있다 6.-게으른 선비 책장 넘기기 7.-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8.-바다는 메워도 사람의 욕심은 다 못 채운다 9.-바보는 죽어야 고쳐진다 10-.밟힌 지렁이 꿈틀한다 11.-겨 묻은 개가 똥 묻은 개를 흉 본다 12.-겨울 바람이 봄 바람 보고 춥다 한다 13.-겨울이 다 되어야 솔이 푸른 줄 안다 14.-고기는 씹어야 맛이 나고 말은 해야 시원하다 15.-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16.-고사리도 꺾을 때 꺾는다 17.-고생 끝에 낙이 온다 18.-고운 일 하면 고운 밥..

와이료 (蛙餌料)

와이료 (蛙餌料) 와이료 (蛙餌料)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자주 듣는 “와이료” 란 말이 있다. 그것은 잘 봐 달라고 “와이료” 를 한다는 것이다. "어려운 일인데도 “와이료” 쓰니 해결 되더라" ”와이료“ 없이는 아무것도 안된다.” (좀 심하지만.) 그런데 이 “와이료(蛙餌料)”가 모두들 일본어투의 용어라서 버려야 된다고 하지만 순수한 우리말 해석이이란 점을 알 필요가 있다. 일본어는 회뢰(賄賂). 뇌물(賂物)을 “와이로” 또는 “아이로” 라고 발음되지만 우리나라에 “와이료”는 해학적이고 의미 깊은 뜻을 갖고 있음을 상기하자. . ♦ 한문 뜻을 보면 (와) 는 =개구리 蛙 字 이고. (이) 는 = 먹이 餌 字 이며.[정당한 수단 아닌 먹이] (료) 는 = 되질할 料 字 이다. [계량할 수 있는 값]. 한마..

點一二口 牛頭不出

點一二口 牛頭不出| ☞ 點一二口 牛頭不出 조선 성종시대 개성에 가무절색 기생이 살았다. 예전의 기생이 명기가 되려면 미색뿐 아니라 글과 가무에 아주 능해야 했는데 이 기생이 그러했다. 기생의 소문은 싸이의 강남스타일이나 잰틀맨 보다 더 급속히 파급되어 팔도의 많은 한량이 모두 이 기생을 찾아가서 연정을 고백했으나 그때마다 이 기생은 한량의 청을 들어주는 대신 문제를 내고 그 문제를 푸는 조건을 내 세웠다. 그러나 희대의 문장가라는 사람도 기생이 낸 글을 풀이하지 못하고 허탈하게 돌아 갔다. 기생은 자신을 사모하는 한량이나 선비를 모두 이렇게 거절하고 언젠가 자신의 글을 풀고 사랑을 나눌 님을 기다리며 평생 기생으로 가무와 글을 익혔다. 얼핏 한량이라하면 건달쯤으로 알기 쉽지만 예전엔 한량이라하면 사서삼경..

고스톱이 주는 인생 교훈 10가지

고스톱이 주는 인생 교훈 10가지라는데 1. 낙장불입 인생에서 한 번 실수가 얼마나 크나큰 결과를 초래하는지, 인과응보에 대해 깨우치게 한다. 2. 비풍초똥팔삼 살면서 무엇인가를 포기해야 할 때 우선순위를 가르침으로써 위기상황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가르친다. 3. 밤일낮장 인생에서는 밤에 해야 할 일과 낮에 해야 할 일이 정해져 있으므로 모든 일은 때에 맞추어 해야 함을 가르친다. 4. 광박 인생은 결국 힘 있는 놈이 이긴다는 무서운 사실을 가르침으로써 결국은 광이 힘이라는 사실을 깨우치게 해서 최소한 광 하나는 가지고 있어야 인생에서 실패하지 않음을 깨우치게 한다. 5. 피박 쓸데없는 피가 고스톱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우치게 해서 사소한 것이라도 결코 소홀히 보지 않도록 한다. 6. 쇼당 인생에서 ..

우리말 속담 1144 가지

★ 우리말 속담 1144 가지 ★ 1. 가까운 남이 먼 친척보다 낫다. ☞ 가까운 데 사는 친척보다 이웃 사람들이 더 잘 보살펴 주고 도와주는 일이 많기 때문에 이웃에 사는 남이 더 낫다는 뜻 2. 가까운 제 눈썹 못 본다. ☞ 멀리 보이는 것은 용케 잘 보면서도 자기 눈 앞에 가깝게 보이는 것은 잘못 본다는 뜻 3. 가꿀 나무는 밑동을 높이 자른다. ☞ 어떠한 일이나 장래의 안목을 생각해서 미리부터 준비를 철저하게 해 두어야 한다는 뜻 4. 가난도 스승이다. ☞ 가난하면 이를 극복하려는 의지와 노력이 생기므로 가난이 주는 가르침도 스승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의미 5. 가난이 원수다.(가난이 도둑이다.) ☞ 일반적으로 불행한 사건이 일어나는 것은 가난이 그 동기가 된다는 생각 때문에 생긴다. 6. 가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