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치아 사이에 왜 까만 구멍이"…치과 간 직장인 날벼락 [건강!톡]
김세린 기자기자 구독
입력2024.10.18 22:33 수정2024.10.18 23:39
잇몸이 자꾸만 내려앉는다면 '잇몸퇴축'
![](https://blog.kakaocdn.net/dn/rz3Us/btsKbUnVUGb/NoAY1ehEemaT6qM7nUDaWk/img.jpg)
잇몸퇴축은 잇몸이 기존 높이보다 내려가 치아의 뿌리 부분이 노출되는 상태를 말하며 치은퇴축이라고도 불린다.
광고
구강위생 상태가 불량한 경우 세균이 치아와 잇몸에 발생해 염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이 과정에서 자극받은 잇몸이 퇴축하게 되고 치조골까지 염증이 이어지면 치주염으로 진행된다.
또 강한 양치질이나 자극적인 치약을 사용하게 되면 잇몸 주변 법랑질이 마모해 잇몸퇴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치실이나 이쑤시개 등을 과하게 사용할 경우 잇몸에 직접적 손상을 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잇몸퇴축은 서서히 발생해 A씨처럼 별다른 증상 없이 심미적인 문제로 발견하는 경우가 있다. 퇴축이 진행되면서 치아를 지지하는 조직이 감소해 치근이 노출되면 양치질할 때나 찬물을 마실 때 시리거나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잇몸이 퇴축되면 치아 사이 공간이 커지고 치아가 길어 보일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잇몸 사이에 음식물이나 치태가 잘 끼여 치주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평소 관리법은 있을까. 잇몸 건강을 위한 올바른 양치법으로는 치아 표면, 치아와 잇몸의 경계 부위 등을 세심하게 양치하는 방법이 있다. 치간 칫솔이나 치실을 이용해 치아 사이를 관리하는 것이 좋다. 특히 임플란트나 보철이 많다면 더욱 신경 쓰는 것이 좋다. 최소 1년에 한 번은 치과에 내원해 스케일링을 포함해 검진받으면 좋다.
장지현 대동병원 치과 과장은 “잇몸퇴축은 갑자기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진행되는 만큼 정기적인 구강검진으로 본인의 치아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며 “퇴축이 시작된 잇몸을 방치할 경우 잇몸 이식술이라는 수술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으므로 평소 자기 잇몸 상태를 살펴보며 이상 증상이 있다면 치과에 즉시 내원하기를 권한다”라고 당부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
'■ 건강·행복생활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의 뇌' 일생에 3번 노화…'이 나이'에 급격히 늙는다 (1) | 2024.12.13 |
---|---|
‘자다가 팔 휘두르고 괴성’…“몽유병 아닌 이 것 의심” (0) | 2024.12.01 |
가을바람에 재채기와 콧물이…알레르기 비염, '이렇게' 증상 관리해야 (0) | 2024.11.04 |
산에서 이거 모르면 죽을 수 있다. (0) | 2024.10.25 |
"분명 문 잠갔는데 확인 또 확인"...잘 드러나지 않은 '이 장애', 왜? (0) | 2024.10.17 |
통증 원인 90%가 이 자세… 4050, 벌써 노년기 척추질환 앓는다 (0) | 2024.10.17 |
무릎에 물이 차면 꼭 빼야 할까? (0) | 2024.10.03 |
무릎에 물이 찼다는데, 꼭 빼야 하나요? (0) | 2024.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