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휴일 추진에 앞장선 사람들에게 듣는 한글날 재지정 취지와 의의
2012년 9월 23일, 공휴일 재지정으로 올해부터 한글날에 쉬게 됐다. 23년만이다. 이 소식에 대부분 사람들은 쉬는 날이 하루 더 늘었다며 좋아한다. 한글날이 다시 공휴일로 지정된 건 어떤 연유일까. 몇 십년 전만해도 한문을 모르면 생활하는데 불편함이 많았다. 지금이야 한글 상용화가 당연시 되고 있지만, 이를 위해 한글 독립을 외치며 전방위로 뛰어 다닌 사람들의 노고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한글 국경일과 공휴일 추진에 앞장서온 이들에게 한글날을 공휴일 지정에 대한 이유를 들어봤다.
휴일이 아니면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다.
아무리 국경일로 정했어도 쉬지 않으면 그 의미를 짚고 넘어가기 어렵다. 석가, 예수 탄신일 등 다른 나라에서 온 종교행사 때도 쉬면서 겨레의 얼을 간직한 한글날에 쉬지 않는 건 말도 안 되는 일이었다. 한글날을 온 나라가 기리고 기뻐해야할 문화축제일로 삼아 해마다 나랏글 사랑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한자보다는 한글이 더 널리 쓰이게 됐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국민의례’, ‘멸사봉공’, ‘국위선양’ 등 일제시대에서 넘어온 잔재들이 버젓이 광복절 등 주요 행사에 쓰이고 있다. 외래어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자존심의 문제다. 어느 나라든지 외래어를 토박이말로 바꾸기 위해 크게 힘을 쓰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한자혼용이나 영어공용화 등 주객이 전도된 주장들이 여전히 흘러나오고, 외래어들을 국어로 순화하려는 노력이 많이 부족하다.
- 이윤옥(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 소장, 전 국립국어원 순화위원)
정보화시대, 한글에 한국의 미래가 달렸다
한글은 정보화시대에 딱 맞는 언어다. 한글은 24자(창제시 28자)로 구성돼 있어 자판을 빨리 치는데도 유리하고, 과학적인 원리에 의해 만들어진 소리 글자라 음성인식 컴퓨터라든지 자동기기 통번역 등에 가장 적합하다. 소리글자 중 로마자(알파벳)보다 우수한 게 한글이다. ‘아’ 가 우리는 한 소리로 통하지만 영어는 ‘A’가 에·애·아 등 상황에 따라 8가지로 소리가 난다. 한글을 내세우면 미국, 일본, 중국 등 강대국들도 우리가 다 제압할 수 있다. 단지 한글이 우수해서 알리는 게 아니라 우리 후손들이 강대국에 눌려 살지 않기 위해선 한글을 잘 활용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한글은 우리가 가진 최고의 문화자산이다. 한글을 관광자원으로도 만들고, 세종대왕 탄생지를 문화성지로 만들려고 하는 것은 한글을 문화자원으로 보는 까닭이다.
- 이대로(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 대표, 전 한글날공휴일추진범국민연합 상임대표)
한글 세계화가 인류의 문화 다양성에 기여한다
실로 한글이 존재한다는 건 우리에게 기적적인 행운이다. 조선 초기에 한글이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한문을 하나하나 외워야 의사소통이 가능한 우리 글 생활은 비극이었을 거다. ‘훈민정음’을 반포하실 때 세종대왕은 ‘누구나 쉽게 글을 익히게 하기 위해 한글을 창제했다’고 말씀하셨다. 이는 한국어뿐 아니라 모든 언어에 통용되는 말이다. 한글은 모든 발음을 표기할 수 있는 글자기 때문에 세계화가 가능하다. 에스페란토어는 말을 통일하자는 거지만 우리는 말을 통일하자는 게 아니다. 말은 있는데 글은 없는 민족, 부족들에게 한글을 전파하면 정확하고 자유롭게 자신의 문화를 남길 수 있게 된다. 한글을 전하면 그 민족의 언어가 표현할 방법을 찾고 고유 문화가 살아나니 절로 인류 문화의 다양성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 신기남(현 국회의원, 전 한글날 국경일 추진을 위한 의원 모임 대표 )
우리말에 능통해야 사고력이 잘 자란다
조기영어교육이 열풍이다. 하지만 외국어에 우선해 우리말을 먼저 잘해야 다른 말도 잘 익할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한 처사다. 모국어를 잘하는 건 인간의 수준이 높냐 안 높냐를 결정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인간의 질적 수준은 사고력의 깊이로 결정되는데, 인간은 언어를 통해 생각하므로 먼저 모국어인 한글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어야 그만큼 사고력도 자란다. 비커에 돌을 넣은 뒤 물을 채우면 물이 빨리 차듯이 우리말에 대한 기본적인 능력이 갖춰진 다음에 외국어를 해야 외국어도 빨리 늘게 된다. 아무리 조기교육을 통해 영어 등 외국어를 배운다고 해도 사고력이 고학년이 수준이 안 되면 그 이상의 어휘구사는 할 수가 없는 법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인이 한글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건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일이다.
한글날공휴일추진범국민연합이 광화문 앞에서 백만인 서명운동을 하고 있다 |
-윤지희(사교육걱정없는세상 대표, 전 참교육학부모회 회장)
* 한글날에 얽힌 역사 : 한글날은 1926년 주시경 선생이 대표로 있던 조선어학회에서 만들어졌다. 우리말 운동의 시작은 독립운동의 일환이었다. 글이 겨레의 얼이라는 생각에 주시경, 서재필, 이은상, 최현배 등 이 시대의 지식인들은 한글을 통해 겨레의 독립을 꿈꿨다. 일제의 암흑기와 전쟁통을 겪은 후, 1960년 말부터 한문혼용 반대, 우리말 순화 운동이 사회적인 흐름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지속적인 운동에 힘입어 1960년대엔 조사 빼고는 온통 한문뿐이던 신문이 1990년대에 들어 한글로 쓰기 시작했다. 시작은 1988년 한겨레신문의 창간이었고 7년 후 중앙일보가 여기에 동참했다. 노태우 정권 이전에는 한글이 국경일이 아니었다. 1990년 한글날이 공휴일에서 제외되면서 한글날을 국경일로 만들려는 움직임이 전택부 선생을 중심으로 본격화 됐다. 국회에서는 신기남 의원을 필두로 노회찬 의원, 이계진 의원, 김재윤 의원 등 60-70명의 의원들이 모여 국경일 제정 법률안을 발의해 2005년 한글날은 국경일이 되었다. 하지만 국경일은 법률로 만들어지고, 공휴일은 대통령령으로 만들어지게 되어 있어 공휴일 지정은 같이 되지 않았다. 이에 2012년 우리말 지킴이 운동을 전개해 온 한글단체들과 전교조, 민주노총,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다시 한번 결집해 한글날공휴일추진범국민연합을 만들었고, 100만인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시민들의 목소리에 힘입어 같은 해 공휴일로 재지정이 됐다.
* 한글날 관련 주요연혁
1926년 한글날 제정
1949년 한글날 공휴일 지정
1990년 한글날 법정 공휴일 제외
1999년 한글날 국경일 제정 공청회
2000년 한글날 국경일 제정 청원서, 한글날 국경일제정 법안 제출
2000년 한글날 국경일 지정을 위한 공청회
2001년 한글날 국경일 제정 범국민 추진위원회(위원장 전택부) 발족
2004년 한글날 국경일 제정법안 국회 재제출
2005년 한글날 국경일 제정 법안 통과
2012년 3월 한글날 공휴일 추진 범국민연합(상임대표 이대로) 출범
2012년 9월 한글날 공휴일 재지정
신유리 / 미디어팀 기자 (albatrosknock2@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