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박재희 입니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물(水)은 다른 농업문명 국가가 모두 그러했듯이 중국에서 가장 주목 받는 관찰 대상이었다. 물이 넘치면 수백만 명이 빠져 죽었고, 물이 모자라면 수 없는 사람들이 굶어 죽었다. 중국 농업사회에서는 국가의 존망과 민심의 향방이 치수(治水)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하(夏)나라를 세운 우(禹) 임금도 8년 동안 치수의 공을 인정받아 천자(天子)가 되었다. 그래서 물은 모든 동양의 철학자들이 자신의 생각을 비유하는 대상이었다. 철학자들은 물에게서 다양한 생각을 배웠다.
천하를 돌며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펼칠 지위를 줄 제후를 찾아다니다 실패한 공자는 황하에 가서 이렇게 외쳤다.
“아! 흘러가는 물이 이렇게 도도(滔滔)하구나! 밤낮을 쉬지 않고 흐르는 저 물을 보라(逝者如斯夫 不舍晝夜)!”
그는 자신이 못 이룬 정치적 이상이 밀려오는 후학(後學)들에 의해 계승될 것임을 물을 통해서 확신하였다.
노자(老子)는 물을 통해 겸손과 무위(無爲)의 리더십을 설명하려 하였다.
‘세상에 어떤 것도 물보다 연약하고 부드러운 것은 없다. 그러나 단단하고 센 것을 뚫는데 있어서 물을 이길 자는 아무도 없다(天下莫柔弱於水,而攻堅强者,莫之能勝).’
노자는 물에서 겸손함을 보았던 것이다. 성공하고 이룬 자들은 노자의 물 철학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물은 모든 만물을 이롭게 적셔주며 키워주지만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르기에 강이 되고 바다가 된다.
승자는 군림하고 누리려는 자가 아니라 낮추고 버리는 자의 모습이어야 한다.
<맹자(孟子)>는 샘이 깊은 물에 대하여 세 가지 철학을 설파한다.
첫째는 지속성이다. ‘샘이 깊은 물은 밤낮을 쉬지 않고 흐른다(不舍晝夜).’
맹자에게 위대함은 천재성이 아니라 지속성이다. 군자는 쉬지 않고 스스로를 강하게 만든다(自强不息).
날마다 새로운 나를 만들기에(日新)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존재로 남는 것이다.
둘째는 진정성이다. 물은 흐르다 웅덩이에 갇히면 그 웅덩이를 채우고 다시 흐른다(盈科後進). 샘이 깊은 물이기에 언젠가는 물이 웅덩이에 가득 찬다. 살다가 어려운 상황에서 불안하거나 당황하지 말고 때를 기다려야 한다.
뚝심과 근원만 깊다면 언젠가 기회는 온다. 물이 웅덩이를 비워놓고 흐르지 않는 것은 철저하게 쉼표를 찍고 가겠다는 것이다. 인생도 때로 쉬었다 가야 더 멀리 갈 수 있는 것이다.
셋째는 영원성이다. ‘샘이 깊은 물은 흘러서 사해 바다로 흘러간다(放乎四海).’ 시간이 문제지 기초만 튼튼하면 결국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조급해야 할 일도 없고, 재촉해야 할 이유도 없다.
근원만 깊다면 물은 결국 바다로 흘러간다. 오뉴월에 내리는 장마 비는 잠깐 내려도 길을 삼키고 계곡에 넘친다. 그러나 해가 나면 결국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근원이 없기 때문이다. 잠깐 반짝이며 사라지는 장맛비가 아니라 사해 넓은 바다로 흘러가는 샘이 깊은 물이 되어야 한다.
원천혼혼(原泉混混)! 샘이 깊은 물이 끊임없이 용솟음친다.
샘이 깊어야 물은 쉬지 않고 흐르고, 웅덩이를 만나면 당황하지 않으며, 결국 저 먼 바다로 항해할 수 있다.
비록 물에 대한 비유이지만 인생의 철학이며 살아가는 지혜이기도 하다.
물(水)! 그냥 물로 볼 일이 아니다.
감사합니다. 박재희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