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2015. 05. 15

불로그에 올린 글이 부족하나마 세상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수어지친 水魚之親 TISTORY

■ 전통과 역사 160

천운(天運) 지운(地運) 인운(人運) 사람에게는 세가지 운(運)이 있다

천운(天運) 지운(地運) 인운(人運) 사람에게는 세가지 운(運)이 있다 바로천운(天運) 지운(地運) 인운(人運) ♻천운(天運)ᆢ하늘이정해준 운으로 내부모가 아무개라는것 내성별이 남자 혹은여자라는것등 바꿀수없는운을말함 ♻지운(地運)은 타고난재능이다 그림이나 연기 노래등 타고난재능은 지운이결정한다 아무리 천운과지운 잘타고났어도 마지막 인운(人運)에서 그르치면 삶힘들어진다 ♻인운(人運)은 사람복을말한다 인생에서 어떤사람만났으며 그사람이 내인생에 도움됐는지 안됐는지 인운(人運)으로결정 인운(人運)은 인간의힘으로 바꿀수있다 인운(人運)을 풍요롭게 가꾸기위해서는 천운(天運)과 지운(地運)을 탓하거나 원망해서 안된다 부모탓하고 시대탓하고 직장탓해서 해결되는것은없다 부모와시대탓하는것은 자신의근본부정하는것 설령시대와 부..

사람을 보는 관상법

사람을 보는 관상법 ==== 눈관상법 ==== 눈은 마음의 창. 입으로 거짓말을 할 수 있어도, 눈은 거짓말을 못한다. *움직이는 눈은 마음이 초조하고 불안하다. *정시하지 못하는 사람은 비밀이 있는 사람이다. *눈을 잘 깜박이는 사람은 신경질적이고 고민이 있는 사람이다. *축축한 눈은 격렬한 사랑의 소유자이고, 때로는 외도를 할 수 있는 사람이다. *화난 듯한 눈은 투쟁심이 강한 사람이다. *온화한 눈은 따뜻한 사랑과 인덕이 있는 사람이다. *눈이 아름다운 사람은 마음도 아름답고 상향심이 있고 활동적이다. *눈빛이 어두운 사람은 신용이 없고 좋지 않은 생각을 품고 있다. *상대의 눈을 조용히 쳐다보는 사람이 신용이 있고 믿을 수 있는 사람이다. *눈위의 눈두덩(전택궁)이 도톰하면 재산운이 좋고 인기가 ..

보기 힘든 귀한 자료**수영복입은 박대통령도 있음.

보기 힘든 귀한 자료**수영복입은 박대통령도 있음. 보기 힘든 귀한 자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1952-01-21) 공산권·중립국가 휴전선 감시위원단 탈퇴요구 시위(1955-08-13) 미스코리아 결선대회 출전자들의 수영복 심사광경(1957-05-14) 우량아 선발대회에서 입상한 아기들(1957-05-15 ) 성형수술 장..

소래철교의 옛날 그리고 현재 모습

소래철교의 옛날 그리고 현재 모습 1990년도 소래철교 달월역 지금까지 사진은 소래철교 과거 사진이었습니다. 아래사진은 2011년10월25일 소래철교 사진입니다. 월곶에서바라본 소래방향. 사람들이 철길을 따라 소래로 향하고 있는모습. 협궤열차 철길에 지금은 전철 공사가 진행중. 소래철교입구 소래포구방향. 바닥에 깔아놓은 나무판자 밑에 옛날철길이 있음. 소래철교 협궤열차가 다니던 소래철교 왼쪽엔 전철공사가 진행중인 또다른 교각. 오른쪽은 소래포구. 소래철교에서 바라본 소래포구. 물 빠진 소래포구 소래포구쪽에서 월곶방향으로 바라본 소래철교

영국의 女人이 마음으로 그린 90년전 한국과 한국인

영국의 女人이 마음으로 그린 90년전 한국과 한국인 엘리자베스 키스 1887-1956 ‘Portrait of Miss Elizabeth Keith’ by Ito Shinsui, 1922 20세기 일본 화단의 대가로 꼽히는 이토 신수이(伊東深水, 1898-1972)가 그린 키스의 초상화 1919년 엘리자베스 키스라는 호기심 많은 한 영국 여인이 극동의 작은 나라 ..

세월의 역사속에서 빛 바랜 옛 모습

세월의 역사속에서 빛 바랜 옛 모습 ↑ 1930년대 서울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 근처에서 통학중인 배재고보 학생들.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제공 ↑ 1943년 일본식 속옷 훈도시를 입고 강가에서 수영하다 찍은 기념 사진.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제공 ↑ 1933년 경주 수학여행을 찍은 사진들. 불국사와 석굴암, 첨성대 등을 뒤덮은 학생들의 모습이 이채롭다.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제공 ↑ 1936년 졸업앨범 사진. 학생들이 서로 엎드린 자세로 어우러져 배재학당의 교표 이미지를 만들었다.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제공 ↑ 1920년대 화학 수업 광경.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제공 ↑ 1920년대 교정에서 테니스를 치거나실내에서 탁구를 치는 모습이다. ↑ 1936년 찍은 웅변부 동아리의 연습 광경. 각양각색의 자세로 연사 흉내를..

일본 가미가제(神風) 특공대

가미가제(神風) 특공대 가미(神)는 신, 가제(風)는 바람이란 뜻으로 "신이 일으키는 바람" 이란 뜻이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무렵, 일본군이 점령하고 있던 필리핀에 연합군이 상륙하고 미국은 자국내 일본 자산을 동결하는 등, 압력을 가하자 일본군은 가미가제 특공대를 편성하여 하와이 진주만 기지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조종사들은 천황을 위해 죽는것을 명예롭게 생각하여 연합군 함대에 동체를 부딪치는 무모한 공격을 감행, 1945년 본토 오키나와를 방어하기 위해 1.024 명(추정)의 특공대원이 가미가제 공격을 감행했다. 여기에는 한국인도 11 명이 특공대원으로 참전하게 된다. 가미가제의 공격으로 30척 이상의 연합군 군함과 350척이 넘는 전함이 피해를 입었으나 주요 목표물인 항공모함은 침몰시키지 못했다. ..

재미있는 지명이야기

재미있는 지명이야기 ●양재동(良才洞) 지명 유래 서울 서초구 양재동은 조선조 때 양재도찰방(良才道察訪)이 있었던 곳으로 종6품 찰방이 있어 그 밑에 12개의 작은 역을 두고 관원에게 말과 숙소를 제공했던 곳이다. 양재역을 말죽거리라고도 하였는데 1624년 이괄이 반란을 일으켜 도성을 침범하자 인조는 황황히 한양을 빠져 나와 충청도 공주로 피난케 되었다. 도성을 벗어난 임금 일행이 이곳에 이르러서는 허기와 갈증에 지쳐 있었다. 그러자 이곳에 사는 유생들이 급히 팥죽을 쑤어 바치니 임금은 말에서 내릴 틈도 없이 말 위에서 죽을 먹고 부랴부랴 떠났다 해서 말죽거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 하나 이야기는 한양 도성에서 이곳까지는 한나절 거리로 지방에서 한양에 도달하려면 이곳에서 마지막으로 말의 먹이인 말죽을..

정월 대보름의 유래와 해설

정월 대보름의 유래와 해설 | 오늘은 민속대명절 9가지나물에 오곡밥 먹는 정월대보름입니다. 정월 대보름 오행시 정많은 우리민족 흥겨운 대보름날 월색이 온화하니 농사는 대풍예감 대대로 만사형통 인재를 배출하고 보물급 명물되여 선망의 대상인물 름름히 사회일원 떳떳한 명인되자 정월 대보름의 유래와 해설 한국에서는 달은 음에 해당하여 여성으로 본다. 달은 여신, 땅으로 표상되며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으로 출산하는 힘을 가졌다고 여겼다. 달은 풍요로움의 상징이었다. 한국에서는 대보름을 설과 같은 중요한 명절로 여겼다. 지방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대보름날 자정을 전후로 마을의 평안을 비는 마을 제사를 지냈다. 대보름에는 오곡밥을 지어 먹으며, 아침 일찍 부럼이라고 하는 껍질이 단단한 과일을 깨물어서 마당에 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