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2015. 05. 15

불로그에 올린 글이 부족하나마 세상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수어지친 水魚之親 TISTORY

■ 마음의 양식/漢詩

圃隱 鄭 夢周[포은 정몽주] 인간적인 면모

지송나무 2020. 5. 6. 12:09

 

圃隱 鄭 夢周[포은 정몽주] 인간적인 면모

 

 
 
 
 
 
 飮酒 [음주] 술을 마시고
 
圃隱 鄭 夢周[포은 정몽주]
 
               客路春風發興狂
         나그넷길 봄바람 부니 미친 듯 흥이 나서
 
               每逢佳處卽傾觴

[매봉가처즉경상] 멋진 경치 볼 때마다 매번 술잔 기울였지 

               還家莫愧黃金盡

 [환가막괴황금진] 돌아와 돈을 다 써버렸다 부끄러워 말라, 

               剩得新詩滿錦囊

 [잉득신시만금낭] 새로 지은 시(詩)들 주머니에 가득하거늘...

 

포은 선생 하면 충신의 이미지가 워낙 강하여
대쪽같은 선비로 인식이 된다. 
 
하여 문장이나 시(詩)에서의 뛰어난 풍모나 학자로써의 긍지는 물론
시와 더불어 술과 함께 얼마나 낭만적이
인물이었는지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의 시 '음주(飮酒)' 는 이러한 그의 인간적이 면모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시의 내용을 보자면..
봄바람이 살랑살랑 불어오는 여행길에 저절로 흥이 절로 난다.
그러다보니 멋진 풍경을 핑계 삼아 가는 곳마다
 술잔을 기울일 수밖에 없다.
 
景中有酒[경중유주]요,
酒中有詩[주중유시]다.
풍경 속에 술이 있고 술잔 속에 시가 있다.
 
이렇게 흥청망청 마시고 읊조리다 보니 
주머니 속 여비를 다 써버린 것도 몰랐던 것이다.
 
돈이란 것이 그렇다.
흥에 겨워 쓸 때는 아까운줄도 모르고 쓴다.
그러나 그 순간이 지나고 텅 빈 주머니의 한기를 느꼈을 때는
아깝기 마련이라 자책감이 든다.
그런다고 이미 나가 버린 돈이 돌아오지 않는 법.
 
"그렇지만 어떠냐!
 여기 새로 지은 시가 가득 들어 있는데..."
 
시가 든 주머니를 툭툭치며 스스로 위안을 하는
포은을 생각하면 저절로 웃음이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