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2015. 05. 15

불로그에 올린 글이 부족하나마 세상을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수어지친 水魚之親 TISTORY

분류 전체보기 3739

이승만 대통령 장례식에 보낸 박정희 대통령의조사

조사는 메일끝 부분에 실려 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 장례식에 보낸 박정희 대통령의조사 <편집자 주> 1965년 7월19일 0시 35분, 건국 대통령 李承晩 박사가 하와이 마우날라니 병원에서 마지막 숨을 거두었다. 1960년 4·19 학생시위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뒤 휴가차 5월29일 하와이를 방..

'살아있는 영웅' 백선엽 장군을 스스로 비하하는 나라

'살아있는 영웅' 백선엽 장군을 스스로 비하하는 나라 지구상에서 ‘살아있는 전쟁 영웅’을 스스로 비하(卑下)하는 나라는? 오동룡 월간조선 차장 입력 : 2013.05.06 03:03 백선엽 장군 명예원수 재추대론 또 물거품 되나? 오동룡 월간조선 차장 지난해 10월, 31세의 민족문제연구소 출신 민주당 김광진 의원이 할아버지뻘인 백선엽 장군(白善燁·예비역 육군대장)을 ‘민족 반역자’로 매도해 여론의 뭇매를 맞았었습니다. 그 백선엽 장군은 1920년 10월 생으로 올해 94세인데, 걸음걸이나 기억력을 보면 절대 ‘노인’이 아닙니다. 그는 지금도 아침 8시면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 있는 6·25전사편찬자문위원장실로 출근합니다. 한국은 물론이고 해외 군 관련 인사들의 예방 일정들이 화이트보드에 빼곡합니다. 이..

우리나라 3대 영웅

우리나라 3대 영웅 올해는 이병철 탄생 100주년, 박정희 93년, 정주영 95년, 동시 탄생,민족 행운의 7년 몇 백년에 한 명 나올 영웅 세 사람이 거의 동 시에 태어나서, 대한민국의 기적을 만들었다 이를 제대로 평가 해야한다 올해가 이병철 삼성 창업주 탄생 100주년이다, 기념행사가 준비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최근 본 뉴스들을 떠올렸다, 올해 우리나라 무역흑자가 일본을 훌쩍 넘었다, 필자의 기억 속에서 일본은 감히 넘보지 못할 무역 흑자대국이었다, 금융위기후의 특수한 사정 탓이 겠지만 식민지였던 우리가 이 흑자대국을 한번 이라도 앞서는 일은 필자의 생애에서는 보지 못할 줄 알았다 런던에서 팔리는 전자제품의 30%가 삼성전자 제품이고, 지금 미국에서 가장 성장하는 자동차 회사는 현대자동차다, 모두 ..

김좌진의 생애와 업적

김좌진의 생애와 업적 김좌진 (1889.11.24(음)~1930.1.24) 1. 생애와 업적 출생-사망 1889년 11월 24일 (충청남도 홍성) - 1930년 1월 24일가족 손녀 김을동, 아들 김두한수상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경력 1930 중국 길림성 영안현 중동 노산시역 자택에서 고려공산청년회원 1929 한족총연합회(신민부 후신) 주석 1925 성동사관학교 설립 1925 영안에서 신민부조직, 군사집행위원장 * 연표 1889년 음력 11월 24일: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출생 1904년 - 해주 오씨 오숙근과 결혼 1905년 - 서울로 올라와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학. 같은 해, 가노 해방 및 전답 무상 분배 1907년 - 호명학교 설립. 가산을 정리하여 학교 운영에 충당하게 ..

유관순(柳寬順) 선생

“만국이 평화를 주장하는 금일을 당하야 (…) 우리도 비록 규중에 생활하여 지식이 몽매하고 신체가 연약한 아녀자 무리나 국민 됨은 일반이요 양심은 한가지라 (…) 우리는 아무 주저할 것 없으며 두려워할 것도 없도다. 살아서 독립기(獨立旗) 하에 활발한 신국민이 되어 보고 죽어서 구천지하에 이러한 여러 선생을 좇아 수괴(羞愧)함이 없이 즐겁게 모시는 것이 우리의 제일의무가 아닌가. 간장에서 솟는 눈물과 충곡(衷曲)에서 나오는 단심으로써 우리 사랑하는 대한 동포에게 엎드려 고하노니 동포! 동포여! 때는 두 번 이르지 아니하고 일은 지나면 못하나니 속히 분발할지어다.” -3․1운동 시기 발표된 대한독립여자선언서 중에서- 계몽운동가였던 아버지 밑에서 민족의식을 함양 유관순(柳寬順) 선생은 1902년 11월 17..

매헌(梅軒) 윤봉길(尹奉吉, 1908. 6. 21~1932. 12. 19) 의사

19세의 나이에 이미 농촌계몽운동에 뛰어든 의사는 야학당을 개설하여 한글 교육 등 문맹퇴치와 민족의식 고취에 심혈을 기울였다. 하지만 계몽운동만으로는 독립을 이룰 수 없다는 한계를 인식하고 중국으로 망명길에 오른다. 그곳에서 백범 김구를 만난 의사는 의열투쟁에 뜻을 모으고 한인애국단에 가입, 김구와 함께 홍구공원 거사를 계획한다. 의사의 의거는 널리 알려져 중국의 한인독립운동 지원과 임시정부의 활성화 등 이후 독립운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의사는 25세의 나이로 순국한다. 농촌계몽운동에 뛰어들다 매헌(梅軒) 윤봉길(尹奉吉, 1908. 6. 21~1932. 12. 19) 의사는 1908년 6월 21일 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에서 부친 윤황(尹墴)과 모친 김원상(金元祥) 사이의 5남 2녀 중 장남으로 태..

이순신 장군의 명언

이순신 장군의 명언 집안이 나쁘다고 탓하지 마라. 나는 몰락한 역적의 가문에서 태어나 가난 때문에 외갓집에서 자라났다. 머리가 나쁘다 말하지 마라. 나는 첫 시험에서 낙방하고 서른 둘의 늦은 나이에 겨우 과거에 급제했다. 좋은 직위가 아니라고 불평하지 말라. 나는 14년 동안 변방 오지의 말단 수비장교로 돌았다. 윗사람의 지시라 어쩔 수 없다고 말하지 말라 . 나는 불의한 직속 상관들과의 불화로 몇 차례나 파면과 불이익을 받았다. 몸이 약하다고 고민 하지 마라. 나는 평생동안 고질적인 위장병과 전염병으로 고통 받았다.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고 불평하지 말라 . 나는 적군의 침입으로 나라가 위태로워진 후 마흔 일곱에 제독이 되었다. 조직의 지원이 없다고 실망하지 마라 . 나는 스스로 논밭을 갈아 군자금을 ..

뤼순감옥 안중근 의사 독방 첫 공개.. 마지막 흔적 고스란히

[단독] 뤼순감옥 안중근 의사 독방 첫 공개… 마지막 흔적 고스란히 입력 : 2014-03-27 03:31 안중근 의사 순국 104주기인 26일 안 의사가 일제에 의해 처형된 중국 랴오닝성 다롄(大連)시 뤼순커우(旅順口)구 뤼순 감옥에서 추모식이 열렸다. 이번 행사에는 하얼빈(哈爾濱)에서 안중근기념관 개관으로 추모 열기가 고조돼 여야 국회의원 9명으로 구성된 추모단(단장 서청원 새누리당 의원)이 참석했다. 서 의원은 추모사에서 “안 의사의 ‘동양평화론’을 떠올리면서 일본이 ‘무신불립(無信不立)’이라는 경구를 되새기기를 바란다”며 “일본이 과거사 반성을 통해 21세기 동북아 평화와 번영을 위한 동반자 역할을 해주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뤼순 감옥 측은 이날 안 의사가 수감됐던 감옥 내 독방을 공개했다. ..

中하얼빈역에 들어선 安重根 의사 기념관

中하얼빈역에 들어선 安重根 의사 기념관 中하얼빈역에 들어선 安重根 의사 기념관 中하얼빈역 지도.안중근(安重根) 의사가 초대 조선 통감을 지낸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저격했던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하얼빈(哈爾濱) 기차역 지도.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역의 전경.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역에 개관한안중근 의사 기념관 안에서 바라본 안 의사의 저격 현장 모습. 바닥 표지판 이외에 천장에 "안 의사 이등박문 격살 사건 발생지.1909년 10월 26일"이라는 설명 문구가 걸렸다. 中 하얼빈역에 개관한 안중근 의사 기념관 중국 하얼빈시 기차역사에서 열린 '안중근 의사 기념관' 개관식에 참석한 중국 당국 관계자들이 기념식을 갖고 있다. '안중근 의사 기념관' 개관은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

물러서면 나를 쏴라" 백선엽장군 회고록

물러서면 나를 쏴라" 백선엽장군 회고록 ‘물러서면 나를 쏴라’권총을 빼든 사단장이 달려가며 외쳤다 연재 글 묶은 백선엽 장군 회고록 올해는 6·25 전쟁이 일어난 지 6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아직도 전쟁의 성격과 원인을 두고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이 참혹한 전쟁이 우리 민족에 크나큰 상처를 남기고, 한편으로는 한국 현대사회를 형성하는 데 주요 변인이 되었음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때맞춰 6·25 전쟁과 관련된 책들이 쏟아졌습니다. 참전군인의 육성, 대중가요를 통해 그날을 돌아보는 책을 골랐습니다. 1950년 8월. 북한군의 침략으로 남으로 밀린 국군은 낙동강에 최후의 방어선을 쳤다. 경북 칠곡군 다부동에서다. 적은 대한민국을 지도에서 지우기 위해 총력공세를 벌였다. 국군은 대한민국을 지켜내기 위해 처절..

네 軍人의 이야기: 성공한 정치군인 金庾信과 朴正熙, 고생한 순수군인 金方慶과 李舜臣

네 軍人의 이야기: 성공한 정치군인 金庾信과 朴正熙, 고생한 순수군인 金方慶과 李舜臣 趙甲濟 *군인을 존중하던 시절에 태어난 金庾信의 장엄한 생애 『개는 주인을 두려워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책 한 권을 꼽으라고 한다면 고려 仁宗시대의 權臣(권신)이기도 했..

박정희, 가난의 시대 딛고 ‘10% 고도성장 시대’ 열다

박정희, 가난의 시대 딛고 ‘10% 고도성장 시대’ 열다 기사입력 2013-05-02 03:00:00 기사수정 2013-05-02 09:46:28 [허문명 기자가 쓰는 ‘김지하와 그의 시대’]<18>월남 파병 1966년 10월 베트남을 방문해 참전 장병들을 격려하고 있는 박정희 대통령. 파병에 따른 외화 수입은 1960년대 후반 한국..

이순신 장군이 "호남이 없으면 국가가 없다"고 한 이유는?

이순신 장군이 "호남이 없으면 국가가 없다"고 한 이유는? 서울에서 태어나, 충청도에서 성장했고, 경상도 사람의 천거로, 전라좌수사에 부임 글 | 조남준 전 월간조선 이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 탄신 468주년을 맞아 충무공의 얼을 기리기 위해 2013년 4월 28일 오전 서울 중구 한옥마을에서 ..

“한글은 섬세하고 아름다운 통찰력 지녀”

“한글은 섬세하고 아름다운 통찰력 지녀” 美 언어학자 마거릿 토머스 교수 “세종대왕은 지적으로 재능 있고 실천적인 왕이었다. 그의 최고 업적은 ‘한글’로 알려진 한국의 알파벳을 창제한 것이다.” 북미 언어학자협회장 출신의 마거릿 토머스 미국 보스턴칼리지 교수는 스스로 “열렬한 세종대왕과 한글 팬”이라고 소개한다. 2011년 7월 펴낸 ‘언어와 언어학의 50대 주요 사상가’라는 책에서 세종대왕을 별도로 다뤘을 정도다. 토머스 교수는 7일(현지시간) 세계일보와 인터뷰에서 23년 만에 공휴일로 부활한 한글날에 대해 “한국인들이 언어 창제와 관련한 날을 국경일로 정해 기념할 수 있다는 건 큰 행운”이라고 축하했다. 이어 “문자 체계를 국경일로 기념하는 나라는 내가 알기론 한국이 유일하다”면서 “멋진 생각”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