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오이풀 산오이풀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고산지역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높이 40∼80cm이다. 뿌리줄기가 굵고 옆으로 벋는다. 깃꼴겹잎이며 어긋나고 뿌리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길고 4∼6쌍의 작은잎으로 구성된다. 작은잎은 줄 모양 긴 타원형이고 양 끝이 둥글며 뒷..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4
며느리 밥풀꽃 며느리 밥풀꽃 며느리밥풀 꽃이 무리를 지어 마치 봉숭아꽃이 핀 듯 곱습니다 저녁 6시가 넘은 숲은 어둑어둑 해 졌고, 숲으로 들어오는 약한 저녁 햇살을 역광으로 받아서 한층 더 고와 보입니다 자주색 꽃이 하얀 밥알 두개를 물고 있는 듯 보여서 며느리 밥풀 꽃이 되었는데, 슬픈 전설..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4
양지꽃 / 4월의 야생화 양지꽃 키는 30㎝ 정도로 줄기가 비스듬히 땅 위를 기며 자란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3~13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로제트를 이루나 줄기에 달리는 잎은 3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다. 잎에는 털이 많고 잎가장자리에는 톱니들이 있다. 잎자루와 줄기가 만나는 곳에는 턱잎이 있다. ..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4
돌단풍 / 4월의 야생화 돌단풍 돌단풍 [Aceriphyllum rossii]식물 | 브리태니커 범의귀과(―科 Saxifrag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냇가의 바위 겉이나 바위틈에서 자라며, 바위 겉에 단풍나뭇잎처럼 생긴 잎이 달린다고 해서 이름이 '돌단풍'이다. 뿌리줄기가 매우 굵고 비늘 모양의 포(苞)로 덮여 있다. 키 20㎝ 정도이다. ..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4
솜나물 / 4월의 야생화 솜나물 솜나물 [Leibnitzia anandria]식물 | 브리태니커 대정초(大丁草), 솜나무, 부싯깃나무, 까치취라고도 함.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숲속 양지 바른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꽃피는 시기는 4~9월로 비교적 길며, 가을에 꽃피는 개체는 봄에 피는 개체보다 전체적으로 크기..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4
각시붓꽃/4월의 야생화 각시붓꽃의 전설1 삼국시대가 끝날 무렵 신라와 백제의 황산벌 전투에서 죽은 관창이라는 화랑에게 무용이라는 정혼자가 있었는데 관창이 죽었음에도 마음을 바꾸지 않고 죽은 자와 영혼 결혼을 하고 어린 각시는 관창의 무덤에서 슬픈 나날을 보내다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사람들은 ..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4
산자고 / 4월의 야생화 산자고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자고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과 들에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양지쪽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자란다. 키는 약 20㎝이고, 잎은 회록색으로 길이는 15~30㎝, 폭은 0.4~0.5㎝이고, 2장이 뿌리에서 나오며 끝이 날카롭다. 꽃..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4
생강나무 (3월) 생강나무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의 낙엽관목으로 한국, 일본, 중국의 산지 계곡이나 숲속 냇가에서 자란다. 3월에 노란 꽃이 피고, 열매는 9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나무껍질은 약재로 쓴다.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4
할미꽃 할미꽃 한국 전역의 산과 들에 자란다. 키는 40㎝ 정도이고 전체에 흰색의 털이 밀생한다. 잎은 5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잎자루는 길다. 적자색의 꽃은 4~5월경 포엽(苞葉)의 중심에서 나온 긴 꽃줄기의 끝에 1송이씩 핀다. 꽃은 갈래꽃이지만 통 모양의 종형(鐘形)이..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4
개쑥갓(3월) 개쑥갓 (Senecio vulgaris L.) ● 국화과(Compositae) 식물입니다. ● 북한에서는 들쑥갓이라고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구주천리광(歐洲千里光)이라고 부릅니다. ● 영어로는 groundsel 또는 old-man-in-the-Spring이라고 합니다. old-man-in-the-Spring을 우리말로 풀이하면 '봄노인풀'이나 '봄할미풀' 쯤 될까요? ..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3
봄까치꽃(3월) 봄까치꽃 양지 바른 곳에서 제일 먼저 피는 꽃이 큰개불알풀이다. 큰개불알풀의 이름은 '오오누부꾸리'란 일본어를 그대로 직역한 말이다. 꽃이 진 후 씨앗이 맺힌 모양이 개불알을 닮았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큰' 자가 붙었지만 사실은 아주 작다. 씨앗이 맺힌 것도 자세하게 보지 않으..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3
싸리냉이(3월) 싸리냉이 경생엽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지만 기수우상으로 갈라지는 것이 근생엽과 같으며 소엽이 다시 3-5개로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고 잎자루가 있다. 열매는 각과로서 길이 2-3cm이고 소과경에서 굽어 위를 향하며 탄력에 의해 터지고 소과경은 길이 1cm 정도로서 비스듬히 옆으로 향한..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3
현호색(3월) 현호색과 [Fumariaceae, 玄胡索科]식물 | 브리태니커 양귀비목(楊貴妃目 Papaverales)의 한 과. 현호색과 약 19속(屬)의 초본식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일부는 관상용으로 좋고, 많은 알칼로이드를 함유한다. 1년생·2년생·다년생으로 대부분이 북반구에서 자란다. 꽃은 양성화이며 2개의 작..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3
노루귀 (3월) 노루귀 [Hepatica asiatica]식물 | 브리태니커 미나리아재비과(―科 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잎보다 꽃이 먼저 핀다. 꽃은 이른봄 나무들에 잎이 달리기 전인 3~4월에 자주색으로 피나, 때때로 하얀색 또는 분홍색을 띠기도 한다. 꽃에 꽃잎은 없고 6장의 꽃받침잎이 꽃잎처럼 보인다. 3갈..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3
금강초롱, 닻꽃, 얼레지 등 야생화 금강초롱, 닻꽃, 얼레지 등 야생화 금강초롱, 닻꽃, 변산바람꽃, 노루귀, 매화, 홍매, 금낭화, 얼레지... 이름도 귀하지만 누가 잘 가꾸지 않아도 어딘가에 숨어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더해 주는 야생화, 보면 볼수록 귀하고 소중한 자원입니다. 가까운 곳에 야생화 사진을 잘 찍어 주시는 분.. ■ 자연생활/야생초(화) 2015.05.23
고추 재배법 / 봄보라 고추 재배법 / 봄보라 생물학적 특성 학 명 Capsicum annuum L. 분 류 가지과 고추속. 1년생 초본 서 식 남미 원산의 식용작물 영 명 Pepper ▽ 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털이 약간 있다. ▽ 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줄기에 어긋나게 달리고, 잎자루가 길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피며, 잎 겨드랑이에 1~3개가 달린다. ▽ 열매는 장과로 8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재배 요령 1) 파종 파종기 : 매년 2월 초 싹 틔우기 : 발아를 고르게 빨리 하기 위해서는 싹을 틔워 파종하는 것이 좋은데 30℃ 정도의 미지근한 물에 하루 동안 담근 다음 물에 적신 천에 싸서 25-30℃ 정도되는 온상이나 온돌방 등에서 2-3일 정도 보온하여 흰 뿌리가 조금 나오려고 할 때에 파.. ■ 자연생활/텃밭 이야기 2015.05.21
호박 재배법 호박 재배법 |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덩굴의 단면은 5각형으로 덩굴손으로 물체를 감으면서 자란다. 잎은 염통꼴로 다섯 갈래로 얕게 째졌으며, 암수 한그루로 6월인 여름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종모양의 노란 홑성꽃이 피고 둥글고 연노랑색의 열매를 맺는다. 잎과 순, 열매는 식용한다. 여러 품종이 있으며, 호박(Cucurbita속)의 식물은 중앙· 님아메리카에 현재 30여종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크게1년생과 다년생으로 나눌 수 있다. 그중 식용하는 호박은1년생3종인 동양계호박(Cucurbita moschata), 서양계호박 (C. maxima), 페포계호박 (C. pepo)을 든다. 이들은 같은 속이면서 서로 교배해도 종자가 잘 형성되지 않지만, 채소로서 성질이나 재배법 및 이용법에 비.. ■ 자연생활/텃밭 이야기 2015.05.21
고구마 농사 잘 짓는 방법 작년에 이어올해에도고구마가 흉년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고구마 가격이 작년에 이어 올해도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옛날에는 고구마가 잘되었는데 요즘은 잘되지않는다고 많이들 애기합니다 그이유는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한국도 이제 우기가 있다는애기입니다 여름에 20일 이상 계속하여 비가내리는 날이 많습니다 전년도에는 8월달 9월달 계속하여 비가 내렷습니다 올해에도 7월8월에 계속 비가 내렷습니다 이제 우기를 대비한 농사를 짖지 않으면 흉년농사가 될수박에 없습니다 풍작 고구마 농사를 짖는방법을 제나름대로 설명하고자합니다 밭 만들기 고구마 밭에 거름이 많거나 질소질 성분이 많으면 고구마 줄기만 무성하고 고구마는 달리지 않습니다 대량으로 재배하시는 분들은 고구마 두둑을 만들기 전에 6w (대형 포크레인)으로 땅 뒤.. ■ 자연생활/텃밭 이야기 2015.05.21
작두콩 재배법 작두콩 재배법 | /산들향기 작두콩을 심어 잘익은 씨앗을 얻지 못한 분이 많다고 하셔서 올려 봅니다. 작두콩 재배법 1.작두콩 노지재배 파종시기는 양력으로 서울 기준 4월중순이 적당하며가능하면 직파보다.포토나 재활용 종이컵에 모종을 키운다음 옮겨심는게 실패확률이 적다 (포토에 심을경우 키우는 기간은 20~30일 정도가 적당(그이상 두어도 무방) 정식시기는 4월중순에서 4월 30일 사이가 적당하다. 2.파종전 건조된 씨앗은 하루쯤 물에 불려 파종하는데 상토(화원이나 종묘사에서 작은것을 팝니다) 와 포토 아니면 재활용 종이컵을 준비해서 콩알을 심는데 주의할것은 씨눈이 밑으로 가게 심어야 된다. 3.작두콩 모종을 옮겨 심을때 줄 간격은 40-50cm가 적당하며 옆줄 간격도 같은 거리로 심되 두턱을 만들어 물이.. ■ 자연생활/텃밭 이야기 2015.05.21
도시에서 농사짓기, 흉물인가 대안인가 도시에서 농사짓기, 흉물인가 대안인가 줄어드는 농촌, 2020년엔 전세계 3분의2가 도시 거주 얼마 전 귀촌한 지인을 만나기 위해 충청남도 금산에 놀러갔다. 서울에서 꽤 오랫동안 살던 지인은 그새 동네사람들과 꽤 친분을 쌓은 듯 보였다. 알고 있는 에피소드도 많았다. 올 여름 아버지 생신을 맞아 땔감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60대 아들이 톱과 도끼를 들고 매일같이 산을 오르내리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깜짝 놀라자 40대인 자신이 그 동네에선 막내라고 설명한다. 50대는 전혀 없고, 60-70대가 대다수란다. 하긴 2012년 8월이었던가. '전국노래자랑'에 69세 청년회장이 나와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대다수가 도시에 살고 있으니 실감을 못해서 그렇지 뉴스에선 이미 농촌이 초고령사회로 변하고 있다는 소.. ■ 자연생활/텃밭 이야기 2015.05.20
왜성 강낭콩 재배 왜성 강낭콩 재배 올해도 강낭콩을 심어보자~~~~ 작년에는 비멀칭으로 심었는데, 비가 온후에 땅이 물러져서 죄다 쓰러졌다.. ㅡㅡ; 게다가 흙이 튀어 난리도 아니였다.. 일으켜 세우느라 삽질좀 해야했다. 그래서 올해는 멀칭으로 재배를 하기로 했다.. ▲ 모친께서 주신 빨간 강낭콩이다. (비덩굴) 작년에 종묘상에서 산것도 많이 남았는데.. 농사지으면서 씨앗이 남기도 하는데, 나누어 심을 사람이 없는경우 난처하다.. 버리긴 아깝고 그냥 두고 묵히기도 그렇고.. ㅡㅡ; ▲ 역시 모친께서 주신 강낭콩~~~ (비덩굴) 근데 저 강낭콩 이름이 뭐지~~~~~? 얼룩강낭콩~~~~? ▲ 구멍은 대충 호미로~~~~~~ ㅋㅋㅋ 뭐 이쁘게는 안된다.. 구멍 이쁘게 뚫었다고 강낭콩이 더 잘 열리는건 아니니깐 편안대로 하자~~~.. ■ 자연생활/텃밭 이야기 2015.05.20
감나무 접붙이기, "쉬운 듯 어렵다" 감나무 접붙이기, "쉬운 듯 어렵다" 지난 주말(2014년, 3월 30일) 시골에 내려가 감나무 접붙이기를 시도했다. 접붙일 가지는 1달 전에 양초를 녹여 봉하고 냉장고에 보관해 놓았던 것이다. 감나무 접붙이기 시기가 남부지방은 4월 초순경이라고 해서 1주일 정도 미룰까 했으나, 감나무들 상태를 보니 곧 새싹이 나올정도로 올 봄은 너무나 빠르게 진행되어 부득이 접붙이기를했다. 원목은 제작년 태풍 피해를 입은 감나무 등에 접붙이기를 시도했는 데, 말처럼 쉽지가 않다. 글 쓰는 것처럼 어럽다. 집중해서 칼질도 해야 하고 정성을 다해 비닐로 꼭꼭 감싸야 했다. 하지만 초보라서 마음만 앞섰지 제대로 접붙이기를 했는지도 의문이다. 성공했으면 하는 바람이 크지만 숙달된 전문가들께서 보시면 웃을만 하다는 생각도 든다.. ■ 자연생활/텃밭 이야기 2015.05.20
고라니 퇴치법~~ 고라니 퇴치법~~ 농부각시 ・ 2017. 8. 5. 11:42 이웃님들 오늘도 무지덥네요~ 오늘은 고라니 퇴치방법 두가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1.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고라니 퇴치법 칠월초 완두와 잠두콩따고 마늘과 돼지파.양파 캔자리에 빨간팥.재팥.메주콩.오리알태를 심었습니다 모종을 내서 심은 메주콩은 뿌리도 잡기전부터 고라니가 냠냠~~ 팥도 나오는대로 잘라먹으니 망도 보수해보고 이것저것 메달아봐도 소용이 없었습니다 겨우 뿌리 잡은 콩들도 팥들도 새잎이 나오면 나오는대로 족족~~ 사방에 울타리를 쳤는데도 도대체 어디로 넘어 들어오는건지.... 날이갈수록 푸르러야 할 콩밭은 나날이 헐벗은듯 훤하니 속만탔습니다 그러던중 이웃집 아주버님 고라니가 과산화수소 냄새를 싫어한다는 희소식을 ㅋㅋ 그길로 시내약국에 들.. ■ 자연생활/텃밭 이야기 2015.05.20
[스크랩] 콩 수확시기, 올바른 수확방법 4월 중순에 심은 콩과 6월 중순에 심은 콩은 파종 날짜는 두달 차이가 나지만 4월 중순에 심은 콩은 초기 생육이 더딘 반면 6월 중순에 심은 콩은 초기부터 생육이 왕성하다. 이는 포트 파종을 시기별로 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5월 중순에 포트 파종을 한 콩은 10일 이상을 육묘를 해야 초엽이 나와 본밭 정식이 가능할 만큼 성장을 하지만6월 중순에 포트 파종을 한 콩은 불과 4~5일만에 초엽이 나오고 파종 후 일주일 이내에 본밭 정식이 가능할 만큼 성장이 빠르다. 즉, 동일한 조건에서 4월 중순에 심은 콩이나 6월 중순에 심은 콩이나 파종은 두달이나 차이가 나지만 수확은 불과 10일도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콩이 익어가서 수확할 수 있는 시기는 대략 파종 후 100~ 120일 정도 이후 다. .. ■ 자연생활/텃밭 이야기 2015.05.20
들깨 수확시기 들깨 수확시기 - 개화 후 30일에 종실무게와 기름함량이 최고! - 전라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들깨의 수확적기는 개화 후 약 30일경으로 이때 수확하였을 때 수량과 기름함량이 최고에 도달하므로 이 시기에 수확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들깨의 수확적기는 줄기와 잎이 노랗게 변하고 줄기를 흔들면 종실이 줄기로부터 떨어지기 시작할 때이다. 들깨는 유지작물 중 필수지방산을 가장 많이 들어있으며 특히 오메가3 지방산은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하고 학습능력 향상과 수명연장 등의 생체조절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들깨는 대체로 9월 5일에서 9월 20일 사이에 개화하는데 조생종이나 중생종은 9월 상순, 만생종은 9월 20일경에 개화하므로 이시기로부터 30일을 계산하여 수확시기를 예상할 수 있다. 파종시기가 .. ■ 자연생활/텃밭 이야기 2015.05.20
마늘심기 마늘심기 2014년 10월 2일(목) 맑음 일기예보로는 오늘과 내일 비소식이 있어서 어제 그제 부지런히 메주콩을 뽑아 내고 , 마늘 심을 준비에 분주하였다. 마늘을 심고 비가 촉촉히 땅을 적셔 주면 , 며칠 사이로 싱싱하게 마늘의 새싹이 올라오게 된다. 그런데 오늘 기다리던 비가 내리지 않아 결국 오후부터 스프링쿨러를 돌려 물주기를 하고 있다. 마늘밭은 이 시기에 마늘을 심고 , 겨울을 지나 다음 해 6월에 수확을 하게 된다. 이 마늘수확이 끝나면 바로 이모작으로 메주콩을 심는다. 이렇게 경작함으로써 땅의 이용율을 높히고 , 농가의 소득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아뭏든 어제 심은 마늘이 겨울나기를 잘 하여 내년에도 마늘풍년이 들기를 기원해 본다. 올 해 6월달 마늘을 수확하고 바로 심은 메주콩 .. ■ 자연생활/텃밭 이야기 2015.05.20